목록유니티 (30)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MfCq/btsbjiJ0S6K/U5pa0ssiU3lBdifiM0kcXk/img.png)
오늘은 자동차를 스와이프 하면 스와이프 한 거리 만큼 이동하게 하는 게임을 만들었다. 이번에도 저번주에 만들었던 룰렛 게임과 비슷한 원리로 만들었다. 그리고 다음주는 시험인데 오픈북 시험이다. -4월26일 중간고사 1) 일시: 4월26일 14시-15시30분(1시간 30분) 2) 장소: 인관 301호 3) 방식: Open PPT(다른 자료도 허용, 그러나 학생간 공유는 안됨) 4)범위: Chapter1~Chapter7(chapter5제외) * 전자기기 반입금지 *시험전 동영상 수강(출석에 포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5xpuO/btr9QUbfGHg/6g3YNBmwY5d2U1k55pyxq1/img.png)
오늘은 아주 간단한 소스를 이용해서 룰렛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핸드폰으로 실행까지 시켜보는 실습을 했다. 진짜 거짓말 안치고 한 코드 6줄 정도 들어갔는데 꽤 근사한 프로그램이 되더라 물론 좀더 기능을 추가하면 코드가 많아지겠지만 생각한 것보다 신기했다. 짜잔~ 진짜 괄호 빼고 보면 소스가 7줄이닼ㅋㅋ 7줄로 만든 프로그램을 만들 수가 있다는게 놀랍고 재밌었다. 다음시간에는 어떤걸 만들지 기대가 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Jmv/btr8kIcjDCf/YM9CVTQwMCntZag8l6kdMk/img.png)
게임 맵, 배경 제작 GameGbject - 3D - Terrain(지형) 왼쪽 마우스를 누르고 드래그 하면 지형 생성 / 쉬프트를 누르고 드래그 하면 지형 사라짐 or 컨트롤 + Z 브러쉬 모양과 사이즈, 강도에 따라 지형이 다르게 나타남 Set Height를 클릭하고 Height를 30으로 지정하여 Flatten All을 클릭하면 높이가 일정한 두꺼운 지형이 만들어짐 택스쳐 선택 창이 나옴 - 택스쳐 선택 - 택스처가 입혀짐 - 다시 Create Layer - 다른 택스쳐 선택 - 마우스 드래그 하면 해당 택스쳐만 부분적으로 적용 가능 쉬프트 드래그 하면 지워짐 Brush Size:나무크기, Tree Density:나무들의 수 Brush Size가 크고 심을 공간이 좁으면 심어지지 않음 쉬프트 + 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lVpH/btr6NvfWb6D/XIod2fV25gjdzG8v8Jeco0/img.png)
오늘은 드디어 새로운 함수나 명령어 들을 배워서 재미있었다. 유니티 내장 함수 OnMouseDown() - 마우스로 클릭할 때 실행 OnMouseUp() - 마우스로 클릭하고 뗄 때 실행 OnMouseEnter() - 마우스 커서가 해당 객체 위에 놓이면 실행 OnMouseExit() - 마우스 커서가 해당 객체 밖에 있으면 실행 transform.Rotate(x,y,z) - x,y,z 축 기준으로 자기 자신을 주어진 각도만큼 회전시키라는 명령어 transform.Translate(x,y,z) - 각 축으로 지정한 거리만큼 이동 (반대방향 = '-') Input.GetKeyDown(KeyCode.?) - 키보드에서 ? 키를 입력 Vector3.forward:전진 Vector3.back:후진 Vector3..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vyGuX/btr5oNPBCfb/Uvp93u2EfCYkpvhdryTtJk/img.png)
•public변수:클래스(또는 스크립트파일) 외부에서 접근 가능 •private변수: 변수가 선언된 클래스 안에서 만 접근가능 •local변수: 변수가 선언된 중괄호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void Update () { //1초에 1m이동 transform.Translate (0, 0, 1.0f*Time.deltaTime); } 실습 ? : 2.0f * Time.deltaTime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4 + 0.4 + 0.4 + 0.4 + 0.4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PuSwP/btrSWwLxVhy/i2FwwkjlgJ8YxyJFC4Rgc1/img.png)
오늘은 학기 마지막 수업 이었다. 오늘은 Prefab과 Instantiate(), 변수에 시간을 저장하는 법, 충돌 체크 방법을 배웠다. 먼저 Prefab은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해 놓은 게임 오브젝트 이다. 그리고 Instantiate()함수는 특정 게임 오브젝트를 복제하는 함수 이다. 시간을 변수에 저장하는 방법은 시간변수 = Time.deltaTime 이라고 쓰면 된다. ContaIns()라는 함수도 있는데 매개변수에 적은 문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함수 이다. 과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I23H/btrSkC1bVUT/qxk2PsdvFOAFxjN3I4D9N1/img.png)
오늘은 공이 굴러가다가 코인에 닿으면 코인이 없어지고 부딛힌 코인의 수를 출력하는 예제들을 했다. 솔직히 별로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는데 월요일에다가 아침 일찍 해서 그런지 진짜 너무 졸렷다. 그래서 오늘 수업한 내용이 약간 가물가물하다.ㅋㅋㅋ 나중에 따로 더 공부해야 될것 같다. 과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vrAD1/btrRJo3S3BL/RKYY7HAePnqqUJbkSDWIb1/img.png)
오늘은 한번에 스크립트로 여러 객체를 움직이는 예제들을 실습 했다. void OnTriggerEnter (Collider other) - 객체간의 충돌을 인식하는 함수 를 이용해서 if문으로 if (other.gameObject.name == "객체의 이름") { //명령문 } 이런식으로 입력을 해주면 other가 충돌한 객체를 나타내는데 other의 이름이 "객체의 이름" 이라면 if문의 명령어가 실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열을 선언하고 사용하는 법도 배웠다. 먼저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자료형 [] 배열명 = {배열의 값} 이라고 적으면 된다. 그리고 I번째의 배열의 값을 알아보는 법은 Debug.Log(배열명[i]) 를 하면 된다. 그리고 배열의 길이를 알아보려면 배열명.Length 를 하면 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OsEG/btrRddgguHu/PpV3gf9wIal6RPX4JElQdK/img.png)
오늘은 충돌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크립트 예제를 실습했다. OnCollisionEnter()라는 메서드 인데 충돌이 일어나면 호출되는 메서드이다. 괄호안에 매개변수가 충돌한 상대 이다. 예를 들어 매개변수가 col이면 col은 충돌한 상대이고 gameObject.name은 소스를 가지고 있는 객체(나)의 이름이다. 그리고 col.gameObject.name은 나와 충돌한 객체의 이름이다 이를 응용하여 충돌시 반대방향으로 객체를 튕기게 할 수 있다. 정규화는 튕겨내는 힘의 크기를 원하는 만큼 설정하기 위해 한다. 그리고 OnTriggerEnter() 라는 매소드가 있는데 앞에서 운 OnCollisionEnter()은 충돌지점, 충돌 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하지만 OnTriggerEnter() 은 충돌지점, 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