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서버 (15)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소켓 및 TCP 프로그래밍 - TCP 서버 – 클라이언트 응용 - 프로세스 생성(복사) 프로세스 생성 함수: fork() • 실행중인 프로세스로부터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 • 자신과 동일한 프로세스를 자식 프로세스로 생성 • 호출된 위치에서부터 자식프로세스가 실행됨 • 결과 값: – 성공(부모) : 자식프로세스의 ID – 성공(자식) : 0 – 실패 : -1 스레드 기법 스레드 생성 및 종료 함수 : pthread_create() • 프로세스내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하고 실행 • 인자: – *thread : 스레드 변수 – *attr : 스레드의 속성을 제어 – *start_routine : 스레드용 함수 – *arg : 스레드 함수에 전달할 변수 함수 : pthread_join() • 자식 스레드의 종료..

Servlet 이해와 활용 웹 서비스 처리 과정 1.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입력 2.웹 브라우저가 HTTP GET 또는 HTTP POST 요청을 생성하고, 웹 서버에게 요청 전송 3.웹 서버는 요청한 페이지를 찾고, HTTP 응답을 작성하고, 웹 브라우저에 전송 4.웹 브라우저는 HTTP 응답을 수신하여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함 – HTTP 응답은 응답 헤더(상태 코드, 컨텐츠 타입 …) 컨텐츠로 구성됨 3단계에서 요청이 새로운 페이지 생성이나 서버에 자료 저장인 경우 - 웹 서버가 웹 컨테이너에게 요청을 전송하면, 웹 컨테이너가 페이지를 생성하고, 웹 서버에게 전송 - 웹 서버는 HTTP 응답으로 작성하고, 웹 브라우저에 전송 웹 서버가 요청한 페이지를 찾지 못하는 경우 - 404 File ..

NOS 2 - 윈도우 서버 2 : 서버 프로그램 (DNS) DNS 서버 윈도우 DNS 서버 윈도우 서버는 DNS 서버를 제공 • DDNS(Dynamic Domain Name Service)도 포함 주요 기능 • 호스트 이름(도메인 명)과 IP주소에 대한 정방향/역방향 제공 – 정방향: Forward Lookup Zones – 역방향: Reverse Lookup Zones • TCP, UDP의 53번 포트번호 사용 # DNS Cache • DNS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DNS 서버를 분산 배치 • 최근 자주 참조하는 도메인 명과 IP주소를 메모리에 유지 • 동일한 요청이 오면 메모리상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서비스 DNS Cache • DNS Cache는 사용자 PC와 DNS 서버에 존재 주 영..

NOS 2 : 윈도우 서버 : 파일 시스템 및 서버 프로그램 파일 시스템 FAT 16 파일 시스템 FAT : File Allocation Table(파일 할당 테이블) MS-DOS에서 부터 윈도우95까지 사용 최대 2GB까지의 용량을 지원 파일명은 최대 8문자가 가능(확장자 3글자 제외) FAT 32 파일 시스템 기존 FAT 16의 결점을 보완 윈도우 98 ~ 윈도우ME에서 기본 채택 최대 2TB까지의 용량을 지원 파일명은 최대 256문자가 가능 USB 메모리 및 다양한 외부 저장매체에도 활용됨 일부 변형 파일 시스템(exFAT)이 탑재 FAT 16 & 32의 단점 보안 기능이 결여 공용 파일 저장용으로 활용 저용량 볼륨(Volume)에 최적 NTFS 파일 시..

NOS 2 - 윈도우 서버 : 계정 관리 계정 관리 윈도우 계정 관리(Account Management) 윈도우 운영체제는 다중 사용자(Multi-User)를 지원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생성/설정 계정 종류 • 내장 사용자(Built In User Account) – 윈도우 운영체제에 기본 생성된 계정 – Administrator (시스템 관리자) – Guest, DefaultAccount, IUSER_###(웹 클라이언트), IWAM_###(웹 서버) 등 • 로컬 사용자(Local User Account) – 일반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계정 • 도메인 사용자(Domain User Account) – 액티브 디렉터리에서 관리하는 도메인 컨트롤러로 인증 후 로그인 –..

NOS 1 - 리눅스 3 : 서버 및 설정 Apache 서버 아파치 웹 서버 - 데몬 명: HTTPD - 웹서비스(WWW)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프로그램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제공하는 오픈 소스기반의 소프트웨어(1995.04 ~) - 다양한 유닉스 계열 및 윈도우 운영체제를 지원 • 전세계 시장 점유율 40% 이상 - 보안성 강화를 위한 별도의 서비스도 제공 - TCP 포트 번호 • 일반 : HTTP, TCP/80 • 보안 : HTTPS, TCP/8080 서버 설정 - 설정 파일 • 파일명: httpd.conf • 사용자 정의 설정: -f 옵션 활용 • 추가 설정 파일: httpd.conf내 Include 지시어를 통한 다양한 파일 분리 가능 - 주소와 포트 설정 • Listen 지시어 활용\ ..

오늘은 계정 관리와 dnf에 대해서 배웠다. 계정 생성 - adduser 아이디 - 대부분 자동으로 생성 - useradd 아이디 - 모든 설정을 명시해야 함 -m : 홈 디렉토리 생성 -d /home/[guestName] : 홈 디렉토리 이름 -g [groupName] : 그룹 아이디 설정 -u [uid] : uid 지정 or Default Auto -s /bin/bash : shell 지정 암호 지정(수정) passwd 계정이름 계정 속성 수정usermod ~~ ex) sudo usermod -G wheel 계정이름: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소유권 변경 chown 변경후 소유자 해당파일 또는 디렉터리 소유그룹의 변경 chgrp 변경후 소유 그룹 해당파일 또는 디렉터리 DNF (Dan..
저번주에 좀 감이 왔었는데 이번에 다시 뭔 말인지 모르는 부분이 많았다... dream 계정으로 로그인 wheel 그룹의 소속원 $ groups dream wheel su - : 계정 이름으로 사용자 전환 (switching user) 계정 이름이 없는 경우 root로 전환 로그아웃할 때까지 유지 sudo (superuser do) 지정한 명령 실행 완료 때까지만 /etc/sudoers 파일에 지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 가능 기본적으로 root, wheel 그룹이 지정되어 있음
오늘 드디어 약간의 감이 왔다! 그동안 우리가 무엇을 하는건지 왜 하는 건지 몰랏는데 오늘에서야 드디어 뭔가 좀 알것 같다! 일단 가상머신을 실행 시키고 로그인을 한다. 나는 sudo명령어가 안쳐지길레 root계정을 많이 사용한다. 우리학교 컴퓨터 장치이름은 ens160이디. 네트워크 설정 : 유동 아이피 설정 - nmcli dev show ens160 : 장치 확인 - nmcli dev up ens160 : 장치 시작 - ip addr : 네트워크 상태 확인 - ping -c 3 168.126.63.1 httpd 패키지 설치 - sudo dnf install http : 원격저장소로부터 httpd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root는 sudo를 안써도 된다.) dnf list install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