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1-2/서버프로그래밍 (15)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서버프로그래밍 기말고사 정리 202114013 김동현 nmtui설정 IPv4 CONFIGURATION – Manual 설정 Gateway 주소는 일반적으로 마지막에 2를 쓴다. (192.168.140.2) DNS server – 168.126.63.1 / 203.246.96.254 IPv6 CONFIGURATION - Disabled 호스트 이름 설정 # hostnamectl set-hostname dream.linux.org : 호스트 이름을 dream으로 바꿈 재부팅 후 적용 계정 생성 useradd 대부분을 자동으로 생성, 기본적으로 홈 디렉터리를 생성함 암호 지정(수정) #passwd 계정이름 wheel 그룹 권한 부여 – sudo usermod –G wheel 계정이름 소유권 변경 – chown..
rocky linux 설치 -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관리자 선택 - 서버 + 3 packages 네트워크 설정 : 유동 아이피 설정 - nmcli dev show ens160 : 장치 확인 - nmcli dev up ens160 : 장치 시작 - ip addr : 네트워크 상태 확인 - ping -c 3 168.126.63.1 httpd 패키지 설치 - sudo dnf install http : 원격저장소로부터 httpd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dnf list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를 출력 dnf list installed | grep httpd - 설치된 패키지들 중 이름이 httpd 패키지가 있는지를 확인 httpd 서비스의 상태 확인 - systemctl status httpd ..
오늘은 docker로 이미지를 다운받고 이미지로 컨테이너를 만드는 실습을 했다. 마지막에는 VMWare의 리눅스에 docker를 깔아서 작업을 했다. Docker 사용 - pull 한 image 들을 확인할 수 있음 $ docker images - image 실행해서 container화 함 $ docker run -d -p 8888:80 포트 포워딩 8888 : docker가 사용하는 포트 80 : container가 사용하는 포트 - 실행 중인 container 확인 $ docker ps ps : process status 의미함 - 실행 여부와 관계없이 container 확인 $ docker ps -a - 실행 중인 container의 지정한 명령을 실행 $ docker exec -it /bin/ba..
오늘은 VMWare 말고 윈도우 파워셸로 WSL2를 설치하고 Docker라는 걸 설치해서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하는 실습을 했다. Docker docker tag httpd-egyou:latest /httpd:latest /httpd : docker login id가 이미지 이름이 httpd로 변경 docker push /httpd wsl2 : 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process : 실행 중인 프로그램 ps (process status) 이미지 실행 -> 컨테이너 생성, 실행 docker run --name egyou -d -p 8090:80 httpd:latest 컨테이너와 대화형으로 작업 docker exec -it egyou /bin/bash # cd /usr/loca..
오늘은 VM Ware로 리눅스를 이용해 내 아이피 주소를 웹 브라우저에 쳣을때 HTML문서가 나오게 하는 실습을 테스트 하였다. 시간이 살짝 부족해서 못할 뻔 했지만 그래도 어느정도 해서 잘 한것 같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WSL이라는 것으로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이용하는 것을 배우고 docker라는 것도 배웠는데 이부분은 다음주에 할 부분인것 같다.

오늘은 계정 관리와 dnf에 대해서 배웠다. 계정 생성 - adduser 아이디 - 대부분 자동으로 생성 - useradd 아이디 - 모든 설정을 명시해야 함 -m : 홈 디렉토리 생성 -d /home/[guestName] : 홈 디렉토리 이름 -g [groupName] : 그룹 아이디 설정 -u [uid] : uid 지정 or Default Auto -s /bin/bash : shell 지정 암호 지정(수정) passwd 계정이름 계정 속성 수정usermod ~~ ex) sudo usermod -G wheel 계정이름: sudo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소유권 변경 chown 변경후 소유자 해당파일 또는 디렉터리 소유그룹의 변경 chgrp 변경후 소유 그룹 해당파일 또는 디렉터리 DNF (Dan..
저번주에 좀 감이 왔었는데 이번에 다시 뭔 말인지 모르는 부분이 많았다... dream 계정으로 로그인 wheel 그룹의 소속원 $ groups dream wheel su - : 계정 이름으로 사용자 전환 (switching user) 계정 이름이 없는 경우 root로 전환 로그아웃할 때까지 유지 sudo (superuser do) 지정한 명령 실행 완료 때까지만 /etc/sudoers 파일에 지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 가능 기본적으로 root, wheel 그룹이 지정되어 있음
오늘 드디어 약간의 감이 왔다! 그동안 우리가 무엇을 하는건지 왜 하는 건지 몰랏는데 오늘에서야 드디어 뭔가 좀 알것 같다! 일단 가상머신을 실행 시키고 로그인을 한다. 나는 sudo명령어가 안쳐지길레 root계정을 많이 사용한다. 우리학교 컴퓨터 장치이름은 ens160이디. 네트워크 설정 : 유동 아이피 설정 - nmcli dev show ens160 : 장치 확인 - nmcli dev up ens160 : 장치 시작 - ip addr : 네트워크 상태 확인 - ping -c 3 168.126.63.1 httpd 패키지 설치 - sudo dnf install http : 원격저장소로부터 httpd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root는 sudo를 안써도 된다.) dnf list installed -..
음...오늘은 내 IP주소로 특정 HTML을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의 주소로 들어가 보는 그런 실습을 했다. 너무 어려워서 그런건지 따라가기가 힘들었다. 다행히 중간고사는 안보고 기말고사만 본다고 하신다. 그리고 기말고사도 오픈북 시험이라고 하셔서 잘 정리만 하면 잘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너무 힘들어서 앞으로가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