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1-2/네트워크 기초 실습 (37)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네트워크 기초 실습이 종강을 했다. 어려운 과목이었는데 빨리 종강을해서 좋은것 같다. 기말고사는.... 어... 음... 뭐 잘본것 같지도 않고 못본것 같지도 않다. 그냥 평타는 친듯한 느낌? 확실한건 A+은 아니다 하하하하하ㅏ하하하ㅣㅏ하
중간고사에서 기출문제가 그대로 나와서 기출문제만 따로 모아서 정리해 두었다. 문제는 양이 너무 많아서 15페이지가 넘어간다... 이걸 어떻게 다 외우지... 암튼 다른 과목도 준비해야하니 이만하려 한다. (그래 최선을 다했어... 나 자신!)
NOS 2 - 윈도우 서버 2 : 서버 프로그램 (DNS) DNS 서버 윈도우 DNS 서버 윈도우 서버는 DNS 서버를 제공 • DDNS(Dynamic Domain Name Service)도 포함 주요 기능 • 호스트 이름(도메인 명)과 IP주소에 대한 정방향/역방향 제공 – 정방향: Forward Lookup Zones – 역방향: Reverse Lookup Zones • TCP, UDP의 53번 포트번호 사용 # DNS Cache • DNS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DNS 서버를 분산 배치 • 최근 자주 참조하는 도메인 명과 IP주소를 메모리에 유지 • 동일한 요청이 오면 메모리상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서비스 DNS Cache • DNS Cache는 사용자 PC와 DNS 서버에 존재 주 영..
NOS 2 : 윈도우 서버 : 파일 시스템 및 서버 프로그램 파일 시스템 FAT 16 파일 시스템 FAT : File Allocation Table(파일 할당 테이블) MS-DOS에서 부터 윈도우95까지 사용 최대 2GB까지의 용량을 지원 파일명은 최대 8문자가 가능(확장자 3글자 제외) FAT 32 파일 시스템 기존 FAT 16의 결점을 보완 윈도우 98 ~ 윈도우ME에서 기본 채택 최대 2TB까지의 용량을 지원 파일명은 최대 256문자가 가능 USB 메모리 및 다양한 외부 저장매체에도 활용됨 일부 변형 파일 시스템(exFAT)이 탑재 FAT 16 & 32의 단점 보안 기능이 결여 공용 파일 저장용으로 활용 저용량 볼륨(Volume)에 최적 NTFS 파일 시..
NOS 2 - 윈도우 서버 : 계정 관리 계정 관리 윈도우 계정 관리(Account Management) 윈도우 운영체제는 다중 사용자(Multi-User)를 지원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를 생성/설정 계정 종류 • 내장 사용자(Built In User Account) – 윈도우 운영체제에 기본 생성된 계정 – Administrator (시스템 관리자) – Guest, DefaultAccount, IUSER_###(웹 클라이언트), IWAM_###(웹 서버) 등 • 로컬 사용자(Local User Account) – 일반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계정 • 도메인 사용자(Domain User Account) – 액티브 디렉터리에서 관리하는 도메인 컨트롤러로 인증 후 로그인 –..
NOS 2 - 윈도우 서버 1: Hyper - V 윈도우 연혁 연혁 Hyper - V Hypervisor 서버 가상화(초기명: Windows Server Virtualization) • H/W에 가상화 머신이 동작하고 그 위에 게스트(Guest) OS가 동작 • 게스트 OS는 VHD/VHDX 형태의 파일로 저장 – VHD: 최대 2TB, VHDX : 최대 64TB 지원 • 게스트 OS에 가상 하드 디스크를 추가할 수 있음 (물리디스크 사용도 가능) 인텔 가상화 기술(VT: Virtualization Technology)이 필요 • Hyper-V 가 점유 • 다른 소프트웨어가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 Windows Server 2008에 최초 제공 • Windows 10 Professional..
NOS 1 - 리눅스 3 : 서버 및 설정 Apache 서버 아파치 웹 서버 - 데몬 명: HTTPD - 웹서비스(WWW)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프로그램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제공하는 오픈 소스기반의 소프트웨어(1995.04 ~) - 다양한 유닉스 계열 및 윈도우 운영체제를 지원 • 전세계 시장 점유율 40% 이상 - 보안성 강화를 위한 별도의 서비스도 제공 - TCP 포트 번호 • 일반 : HTTP, TCP/80 • 보안 : HTTPS, TCP/8080 서버 설정 - 설정 파일 • 파일명: httpd.conf • 사용자 정의 설정: -f 옵션 활용 • 추가 설정 파일: httpd.conf내 Include 지시어를 통한 다양한 파일 분리 가능 - 주소와 포트 설정 • Listen 지시어 활용\ ..
실기 - 랜케이블 제작 실기 검정 자격 대상 - 해당 등급에 대한 필기 합격자 - 필기 합격 후 2년 이내 응시가 가능 실기 내용 - LAN 전송 매체 - 네트워크 설계/구축 - TCP/IP - NOS - 네트워크 운용기기 문항 및 시간 - 20문항 이하 - 80분 (랜선: 10분, 라우터:20분, 나머지:50분) 합격 기준 -총 60점 이상 데이터 통신 통신 핀 - IC는 I,/O를 위한 도체로 구성된 핀(pin)을 제공 - 데이터 전송을 위해 Rx와 Tx 핀이 서로 역으로 연결 UTP 케이블 배열 구성 랜케이블 제작 (T568B) 렌케이블 제작 (T568A)
NOS 1 - 리눅스 2 : 언어 설정 언어 설정 - 언어 설정 필요성 X윈도우 기반에서는 멀티바이트용 각종 언어용 폰트가 존재 CLI 기반은 ASCII 기반의 문자 폰트만 존재 -> 영문자(Alphabet)만 존재 • CL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문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음 명령 순서 1. 관리자 권한 로그인 • 처음에 root 계정으로 로그인 또는 “comso”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su –” 명령을 실행 2. 작업 터미널 언어 변경 • 명령어: LANG=EN 반드시 붙여서 쓸 것(띄어쓰기 없음!!) 3. 시스템 언어 변경 명령 실행 • 명령어: dpkg-reconfigure locales 4. 재부팅 • 명령어: shutdown –t3 –r now: 명령 입력 후 3초 후 재부팅 실행 시스템 언..
NOS 2 - 리눅스 : 기본 명령어 명령어: 프로세스 제어 프로세스 상태 보기 - 명령어: ps - 로컬호스트 내 프로세스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 - 로컬호스트 내 프로세스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 - 옵션으로 UNIX방식과 BSD방식을 모두 지원 ; UNIX방식은 바( ' - ' )문구를 사용 ; BSD방식은 바 없이 바로 파라미터를 사용 프로세스 상태 보기 - 명령어: top - 로컬호스트 내 프로세스의 동작 상태를 주기적(수초)으로 갱신하여 출력 프로세스 죽이기 - 명령어: kill -시그널번호 프로세스ID - 지정한 프로세스에게 신호를 전달 - 대상 프로세스는 소유권이 동일해야 함 ; 단 시스템관리자(root)는 타 소유권의 프로세스의 제어도 가능 메모리 이용 확인 메모리 관련 리눅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