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1-2/네트워크 기초 실습 (37)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TCP/IP 모델3 - NAT, ARP & RARP NAT 개념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PAT (Port Address Translation) 라고도 함 - 사설 IP 주소 (Private IP Address) - 외부에서 라우팅이 될 수 있는 공인 IP로 변경하는 주소 변환 기능을 수행 - 공인된 IP주소를 갖는 경우에는 포트번호를 변환하는 기법을 사용 장점 -공인 IP 부족 해결 ; 내부 망에서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 : 외부와의 연결은 공유된 공인 IP주소를 사용 - 보안성 향상 ; 외부 네트워크에서 임의로 내부 망에 접근이 불가 - 외부 IP 변경에 영향을 덜 받음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변경되면, 공인IP만 변..
단편화와 IPv6 IPv4 단편화 및 재결합 - 네트워크에는 MTU (Maximum Transfer Unit)라는 각 노드당 최대 보낼 수 있는 단위가 각 성능에 따라 달리 적용. - 전송하는 데이터그램 (패킷)이 MTU보다 크면, 이를 분해하여 전송 ------------------------------------------------------------------------------- 캐스팅 종류 - 유니캐스트 ; 일 - 대 - 일 (1:1) 통신 - 브로드캐스트 ; 통신 노드 하나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신 가능한 모든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멀티캐스트 ; 송신 노드가 하낭 이상의 특정 수신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 대 - 다 방식 - 애니캐스트 ; 송신 노드가 네트워크에..
IP v4 IPv4 구조 - VER (4비트) ; IP의 버전 : IPv4: 4, IPv6: 6 - HLEN (4비트) ; 헤더의 크기 ; 32비트 단위 ; 최소값: 5 (기본 값) - SERVICE (8비트) ; 서비스 클래스의 우선 순위, 지연, 처리율 등 지정 ; 보통: 0 - TLENGTH (16비트) ; 데이터그램 전체 길이 (Total Lenght) ; 헤더 포함 ; 단위: 바이트 단위 - ID (16비트) ; 데이터그램의 식별을 위한 일련 번호 - FLAGS (3비트) ; 미사용 비트 ; 단편하 금지 비트 (DF: Don't Fragment) ; 연속 패킷 비트 (MF: More Fragments) - OFFSET (13비트) ; 단편화의 위치 옵셋 (8비트 단위) - TTL (Time To..
TCP/IP 모델과 IP TCP/IP 계층 전송 계층 - 프로세스간 논리적인 연결 (Logical Link / Communication)을 수행 ; 프로세스간 통신을 목적 (IPC: Inter - Process Communication) - 종단 주소: 포트번호(Port Number)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와 UDP (User Datagram Protocol)가 존재 ; TCP는 연결 지향형 (Connection Oriented) 방식으로 운영 ; UDP는 비연결(Connetionless) 방식으로 운영 - 데이터 단위: 세그먼트 (Segment) -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 종단 (end - to - end, EP: End Point)간 ..
TCP/IP 모델 TCP/IP 개요 - TCP/I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DoD(미국방성) 에서 정의한 모델 ; ARPANET 프로젝트의 결과물 * ARPANET ; 미국방성에서 국방 관련 기관 간 정보 공유를 위해 추진한 프로젝트 ; 초창기 미국 방산 전용 네트워크 - OSI 7 계층 모델과 유사 ; OSI 보다 먼저 정의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네트워크와 상호 접속이 가능 ------------------------------------------------------------------------------------------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 ; 네..
전송데이터의 오류와 흐름 제어 Backward Error Correction ARQ(Auto Repeat reQuest) 종류 - 정지 대기 (Stop - and - Wait) (ARQ) - 연속적(Continuous) ARQ ; Go - Bsvk N ARQ ; 선택적 (Selective) ARQ - 적응적 (Adaptive) ARQ ------------------------------------------------------------- 정지 대기(Stop - and - Wait) ARQ - 송신 측은 프레임 1개를 전송 후 수신 성공을 확인하면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 - 수신이 실패하면 직전 프레임을 다시 보냄 ; 실패의 확인은 NAK (Negative AcKnowledgement) 수신 또..
전송데이터의 오류 제어 오류 제어(Error Control) 개요 - 전송 매체의 외부 간섭(온도, 습도, 전자기 등)에 따라 전송 신호(값)이 변형됨 - 에러에 대한 탐지/검출과 수정/복구가 필요 - 오류 검출 및 정정 (FEC: Forward Error Control) ; 페리티 비트 (Parity Bit) ; 블록 합 검사 (BSC: Block Sum Check) ; 해밍 코드 (Hamming Code) ; 순환 중복 검사 (Cyclic Redundancy Check) - 역방향 오류 정정 (BEC: Backward Error Correction) ; Stop-and-Wait ; Go-Back-N ; Selective-Repeat ARQ ; Adaptive ARQ FEC 오류 검출 및 정정 (FEC..
TCP/IP - OSI 계층 모델 OSI 참조 모델 OSI 7계층 상호 간의 데이터 전달 원리 1 - 최상위 계층 (7계층: 응용 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차례로 전달 (각 계층에서 헤더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달) - 최하위 계층 (1계층: 물리 계층)에 도달 (각 계층에서 헤더에 해당되는 부분을 벗긴 후 최상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달) OSI 7계층 상호 간의 데이터 전달 원리 2 - 송신 측의 최상위 계층의 데이터는 수신 측의 최상위 계층으로 정확하게 전달. - 통신 주체(송신 측, 수신 측, 중계 측)의 각 계층에서 다루는 PDU(Protocol Data Unit)는 동일 OSI 계층 모델이 적용된 통신 OSI 7계층의 역할 -★ -----------------------..
TCP/IP - 프로토콜과 OSI 계층 모델 통신 프로토콜의 개념 통신 (Communication) - 개인-개인, 개인-다수, 다수-개인, 단체-단체 등 모든 분야에서 의사를 전달하는데 사용 - 모든 주고 받는 대화에는 일반적으로 송신자 ,수신자 그리고 메시지(대화 내용)가 포함 - 대화 불가 상태(통신불가): 언어가 서로 다를 경우, 일방적인 대화, 대화에 방해되는 장애물이 있을 떄 --------------------------------------------------------------------------------- 컴퓨터의 통신 - 네트워크가 필요 - 전달되는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0과1로 구성 - 통신 거리에 따라 종단장치(DTE)사이에 다양한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음 - 데이터의 정상적..
통화회선 접속 방식 통신회선의 접속 방식 종류 - 점-대-점 회선 방식 (Point - to - Point Line) - 디지점 회선 방식 (Multipoint Line) ------------------------------------------------------------ 점-대-점 회선 방식 (Point - to - Point Line) - 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 - 두 장치간 전용 링크로 활용 - 채널의 전체 용량은 두 기기간의 전송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 - 주로 고속 통신/처리에 이용 - FSB, BSB 장점 - 빠른응답 단점 - 회선 구축에 많은 비용이 듦 ex)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