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네트워크기초실습 7주차 정리 - 1교시 본문

1-2/네트워크 기초 실습

네트워크기초실습 7주차 정리 - 1교시

김브래 2022. 10. 13. 18:06

TCP/IP 모델3 - NAT, ARP & RARP

NAT

개념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PAT (Port Address Translation) 라고도 함

- 사설 IP 주소 (Private IP Address)

- 외부에서 라우팅이 될 수 있는 공인 IP로 변경하는 주소 변환 기능을 수행

- 공인된 IP주소를 갖는 경우에는 포트번호를 변환하는 기법을 사용

장점

 

-공인 IP 부족 해결

; 내부 망에서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

: 외부와의 연결은 공유된 공인 IP주소를 사용

 

- 보안성 향상

; 외부 네트워크에서 임의로 내부 망에 접근이 불가

 

- 외부 IP 변경에 영향을 덜 받음

;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변경되면, 공인IP만 변경하면 됨

 

Static NAT

 

- 특정 사설 IP가 특정 공인 IP만 사용하도록 관리자가 미리 지정하는 방법

-------------------------------------------------------------------------------------

ARP & RARP

MAC 주소와 IP 주소의 연결

 

- 주소 결정 프로토콜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와 RARP(Reverse ARP)에 의해 서로 연결됨

; ARP와 RARP의 패킷 구조는 매우 비슷

 

- 운영체제는 주변 장치들의 IP와 MAC주소를 내부적으로 테이블에 관리

; IP Address를 장치의 하드웨어 주소로 매핑

 

- 동작 원리:

; ARP: IP가 #.#.#.# 인 MAC 주소는 무엇이니? <- 브로드캐스트 방식

; RARP: MAC주소 $$$$$$는 IP가 무엇이니? <- 유니캐스트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