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네트워크기초실습 3주차 정리 - 3교시 본문
통화회선 접속 방식
통신회선의 접속 방식 종류
- 점-대-점 회선 방식 (Point - to - Point Line)
- 디지점 회선 방식 (Multipoint Line)
------------------------------------------------------------
점-대-점 회선 방식 (Point - to - Point Line)
- 컴퓨터 시스템과 단말기를 전용회선으로 직접 연결
- 두 장치간 전용 링크로 활용
- 채널의 전체 용량은 두 기기간의 전송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
- 주로 고속 통신/처리에 이용
- FSB, BSB
장점
- 빠른응답
단점
- 회선 구축에 많은 비용이 듦
ex)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관계
---------------------------------------------------------------------
다지점 회선 방식 (Multipoint Line)
-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전송회선 1개에 여러 개의 단말기에 공유
- 단말을 위한 채널의 할당은 시간적으로 분리됨\
ex) USB 허브를 통한 주변 장치 연결
- 관련 기술: 폴링, 선택, 경쟁
폴링(polling)
- 단말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떄 사용
- 컴퓨터가 단말에 감시 신호를 보내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
선택(selection)
- 컴퓨터에서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주로 사용
- 송신되는 데이터에 단말의 주소를 명기
경쟁(contention)
- 단말 장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회선에 접근하는 방법
- 가장 간단하지만 효율적이지 않음
-----------------------------------------------------------------------------
----------------------------------------------------------------------------------
다중화 전송
개념
- Multiplexing, 다중화기 = MUX (MUltipleXer)
-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이용
- 전송로 하나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같이 보냄
- 다중화 장치와 컴퓨터 사이는 고속의 대용량 회선으로 연결
- 전송로의 이용 효율이 매우 높음
- 경제적임 - 통신선로의 설치 공사비가 절감
- 유지보수가 용이
종류
-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 시분할 다중화 (TDM)
- 역다중화 (DMUX)
- 파장 분할 다중화 (WDM)
- 기타: 코드 분할 다중화 (CDMA)
-------------------------------------------------------------------------------------------------
---------------------------------------------------------------------------------------------------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Multiple Access
- 하나의 전송로를 여러 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이 사용 = 브로드밴드
- 채널 간에 상호 간섭을 막으려면 보호 대역이 필요 (guard)
------------------------------------------------------------------------------------------------------
시분할 다중화 (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 /Multiple Access
- 하나의 전송로를 여러 개의 시간으로 나누어 다수의 단말이 사용
- 전송로 대역폭 하나를 시간 슬롯으로 나눠서(시간 분할) 사용
-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드(guard) 시간 간격을 추가
- 내부에 버퍼 기억 장치가 필요
--------------------------------------------------------
시분할 다중화(TDM)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모두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는 방식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전송 요구가 있는 체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전송 효율을 높임
- 똑같은 시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가능
- 동기식 대비 슬롯 할당을 위한 별도의 슬롯 필요
- 동기식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쌈
------------------------------------------------------------------------------------------------------------
코드 분할 다중화(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스펙트럼 확산 다중화
- 동일 주파수대역에서 가장 용량이 큼
----------------------------------------------------------------
역다중화(DMUX)
- De-multiplexing
- 하나의 신호를 여러 개로 나눠서 다수의 전송로로 전송
---------------------------------------------------------------
파장 분할 다중화(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Multiple Access
- 하나의 광섬유를 여러 개의 빛의 파장으로 나누어 다수의 단말이 사용
-----------------------------------------------------------------
'1-2 > 네트워크 기초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실습 4주차 정리 - 2,3교시 (0) | 2022.09.25 |
---|---|
네트워크기초실습 4주차 정리 - 1교시 (0) | 2022.09.23 |
네트워크기초실습 3주차 정리 - 2교시 (0) | 2022.09.16 |
네트워크기초실습 3주차 정리 - 1교시 (0) | 2022.09.16 |
네트워크 기초 실습 2주차 - 동영상 강의 3교시 (2)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