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네트워크 기초 실습 12주차 정리 - 1 본문

1-2/네트워크 기초 실습

네트워크 기초 실습 12주차 정리 - 1

김브래 2022. 11. 17. 11:51

NOS 1 - 리눅스 2 : 언어 설정

언어 설정

 

- 언어 설정 필요성

X윈도우 기반에서는 멀티바이트용 각종 언어용 폰트가 존재

CLI 기반은 ASCII 기반의 문자 폰트만 존재 -> 영문자(Alphabet)만 존재

• CL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문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음

 

명령 순서

1. 관리자 권한 로그인

• 처음에 root 계정으로 로그인 또는 “comso”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su –” 명령을 실행

2. 작업 터미널 언어 변경

• 명령어: LANG=EN  반드시 붙여서 쓸 것(띄어쓰기 없음!!)

3. 시스템 언어 변경 명령 실행

• 명령어: dpkg-reconfigure locales

4. 재부팅

• 명령어: shutdown –t3 –r now: 명령 입력 후 3초 후 재부팅 실행

시스템 언어 설정 예:

 

- 매뉴 스크롤 키: 상/하 화살표 또는 PgUp/PgDn 키

- "en_US.UTF-8" 선택

NOS 1 - 리눅스 2 : 기본 명령어

네트워크 관련

할당된 IP 확인

 

- 이더넷 장치에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

- 이더넷 장치에 다수의 IP 주소 할당도 가능

- 관련 명령:

• 명령어 1: ip address

• 명령어 2: ifconfig

할당된 IP 확인

 

- 명령어: ifconfig [인터페이스] 설정 [up/down]

• 지정한 이더넷 장치(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출력

• 지정한 이더넷에 IP 정보 설정

• 지정한 이더넷의 활성화(up) 및 비활성화(down)를 수행

사용자 계정 관리

사용자 계정 추가 

 

 명령어: useradd [-옵션 옵션값] <계정명>

 시스템 관리자(root)만 실행이 가능

 옵션:

• -c <설명> ; passwd 파일에 사용자 설명 추가

• -d <디렉토리> ; 새 계정에 대한 디렉토리 지정

• -e <유효기간> ; 지정된 날짜에 계정 삭제

• -f <비활성일수> ; 패스워드 만기 후 영구 말소까지의 시간

• -u ; 사용자 ID 값 지정 • -s ; 사용자의 로그인 쉘 지정

• -n ; 사용자 계정 추가 기본모드 지정 안함

• -g <기본 그룹> ; 사용자의 기본 그룹 변경

• -G 그룹[, …] ; 기본그룹이 아닌 다른 그룹에 추가

 

사용자 계정의 만기일 설정

 

 명령어: chage [-옵션] <계정명>

 옵션:

• -m [최소 날짜] :

– 패스워드 갱신 최소 주기(날짜) 지정

– 0 : 매번 패스워드를 변경

 

• -M [최대 날짜] : 패스워드가 유효한 최대 날짜

• -d [마지막 날짜] : 패스워드의 마지막 변경 날짜(YYYY-MM-DD 형태)

• -E [만료 날짜] – 사용자 계정의 사용 만료 날짜 지정

– -1 : 무한대

 

• -I [비활성화기간] :

– 사용자 계정이 비활성화되는 기간을 설정

– -1 : 비활성화기간 해제

 

• -W [경고날짜] : 패스워드 만기 전에 안내 메시지 보낼 날짜를 지정

• -l user : 사용자의 패스워드 만기 정보를 출력 7

 

사용자 계정의 설정값 변경

 

- 명령어: usermod [-옵션] <계정명>

- 대표적 옵션:

• -c 설명 : 사용자 설명 변경

• -d 홈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위치 변경

• -e 날짜 : 사용자의 사용 기간을 제한(형식: YYYY-MM-DD)

• -g 그룹 : 사용자 그룹 변경

• -G 그룹, ··· : 사용자 포함 그룹들 변경

• -p 패스워드 : 사용자 패스워드 지정

• -s shell : 사용자의 셸을 지정.

리눅스 시스템 종료

 

 명령어: shutdown [-옵션] [시간] [경고문구]

• 시스템을 종료시키기 위한 명령

• 시스템 초기화 프로그램(init) 모드를 실행

• 관리자 권한만 해당 명령 실행이 가능

• 옵션:

– -t : 런레벨 변경전 대기 시간

– -k : 사용자 모두에게 경고메시지만 전달

– -r : 리 부팅

– -h : 셧 다운 후 시스템 정지

– -c : 실행 중인 셧 다운 취소

– -f ; 빠른 부팅, fsck 점검 생략

– now : 지금 바로 셧 다운

– +m : 앞으로 m분 이후에 셧 다운

– hh:mm : 몇 시, 몇 분에 셧 다운

텍스트 파일 에디터

 

VI 에디터(editor)

 

- 리눅스/유닉스에서는 일반적으로 VI 에디터가 가장 많이 쓰임 Bill Joy에 의해 BSD 유닉스용으로 처음 개발

- 대부분의 유닉스계열의 운영체제는 VI가 설치되어 있음

• VI의 사용을 익히는 것을 강력히 추천

 

- 단, 사용법을 익히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음

- 명령어: vi {파일명}

• 저장: “:w” (명령모드에서 실행)

• 끝내기: “:q” (명령모드에서 실행)

 

- 동작 모드

리눅스 서버 및 설정

계정 정보

 

- /etc/passwd 파일에 계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

- /etc/shadow 파일에 계정벌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