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캐시 (3)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입출력시스템 입출력 버스 구조 및 버퍼링 입출력 버스 구조 초기 구조 - 모든 장치가 하나의 버스로 연결 - CPU가 입출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폴링(polling) 방식 이용 입출력 제어기 적용 구조 - 메인 버스와 입출력 버스의 2개의 채널로 구성 • 메인 버스 : 고속으로 작동하는 CPU와 메모리가 사용 • 입출력 버스 : 주변장치가 사용 - CPU와 메모리의 작업이 느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음 - 단, 주변장치들은 모두 늦은 속도와 동기를 맞춤 입출력 버스를 분리 - 입출력 속도를 고려하여 버스를 분리 후 적용 버퍼링 버퍼(buffer) - 속도가 다른 두 장치 간 통신 시 대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임시로 기록하기 위한 공간 - 장치의 일기/쓰기의 횟수를 감소 = 성능 향상 - 외부..
메모리 관리 - 기본 개요 메모리 관리 개요 메모리의 계층화 - CPU 연산결과가 기록되는 레지스터의 경우 빠른 입/출력이 가능 - 메모리의 읽고/쓰기의 속도는 가격에 비례 - 효율적 메모리 사용을 위해 속도와 용량의 관계를 두고 계층화 메모리의 제어 레지스터와 캐시는 CPU 제조사에 의해 접근 방식이나 데이터의 기록 방식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됨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의 데이터 구조 및 저장 방식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됨 - 주 기억 장치 =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 보조 기억 장치의 저장 방식 = 파일 시스템, 가상메모리 프로세스를 위한 메모리 접근 프로세스 - 메모리에 적재되어 주기적으로 CPU를 점유하여 실행 상태에 진입이 가능한 것 - 소위, 메모리에 명령들(instructions set..
컴퓨터 시스템 구조 - 메모리 및 성능향상 기법 메모리의 종류 메모리의 종류 휘발성 메모리 DRAM(Dynamic RAM) • 저장된 0과 1의 데이터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므로 일정 시간마다 다시 재생시켜야 함 SRAM(Static RAM) •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어 재생할 필요가 없음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클록틱(펄스)이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기식 DRAM 비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 SD 카드, USB 드라이브같이 전력이 없어도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장치 • SSD(Solid State Drive) –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 저전력, 내구성이 H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