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운영체제 9주차 정리 - 1 본문
메모리 관리 - 기본 개요
메모리 관리 개요
메모리의 계층화
- CPU 연산결과가 기록되는 레지스터의 경우 빠른 입/출력이 가능
- 메모리의 읽고/쓰기의 속도는 가격에 비례
- 효율적 메모리 사용을 위해 속도와 용량의 관계를 두고 계층화
메모리의 제어
레지스터와 캐시는 CPU 제조사에 의해 접근 방식이나 데이터의 기록 방식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됨
주기억 장치와 보조 기억 장치의 데이터 구조 및 저장 방식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됨
- 주 기억 장치 =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 보조 기억 장치의 저장 방식 = 파일 시스템, 가상메모리
프로세스를 위한 메모리 접근
프로세스
- 메모리에 적재되어 주기적으로 CPU를 점유하여 실행 상태에 진입이 가능한 것
- 소위, 메모리에 명령들(instructions set)이 존재
메모리
- 큰 바이트 순열(bytes array)로 구성
- 바이트별 주소(address)가 있음
- CPU는 PC(program counter) 레지스터의 값에 해당하는 메모리 주소에 접근하여 명령들을 가져옴
- 명령 처리에 의해 메모리에 읽기/쓰기를 수행
데이터 접근 단위
- CPU와 직접 연결되는 메모리들은 워드(Word) 단위로 접근
- 보조 기억장치의 데이터는 파일시스템을 구성할 때 설정한 블록(Block) 크기의 단위로 접근
메모리 이용 확인
메모리 관련 리눅스 명령
명령어: free : 메모리의 이용 상태(usage)를 보여줌
• 옵션:
-t : 모든(total) 용량을 출력
-h : 단위 문자 출력
-g : gigabyte 단위 출력
-m : megabyte 단위 출력
-k : kilobyte 단위 출력
-b : byte 단위 출력
명령어: top
메모리 점유상태 확인
'2-1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9주차 정리 - 3 (0) | 2023.04.27 |
---|---|
운영체제 9주차 정리 - 2 (0) | 2023.04.27 |
운영체제 중간고사 키워드 정리 (0) | 2023.04.19 |
운영체제 중간고사 정리 (0) | 2023.04.15 |
운영체제 8주차 중간고사 공지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