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료형 (6)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RStudio의 창 구성 편집(Script) 창 R 명령문(‘R 스크립트’ 라고도 한다.)들을 작성하고 실행하는 영역 콘솔(Console) 창 편집 창에서 R 명령문을 편집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했을 때, 명령문의 실행 과정 및 결과를 표시하는 창 환경(Environment) 창 R 명령문이 실행하는 동안 만들어지는 각종 변수나 자료구조의 내용을 보여주는 영역 파일(Files) 창 도움말, 패키지 설치 및 조회, 그래프 실행 내용 조회 등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창 RStudio 다루기 RStudio에서의 저장과 종료 - 메뉴에서 [File]-[Save] 또는 [File]-[Save As] - R 스크립트 파일의 확장자 이름은 일반적으로 ‘.R’을 붙임 패키지의 설치 - R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 매우..
필기 깃 많이 쓴다 인텔리제이 한글이 나오지 않을 때 쉬프트 두번 - VM options - -Dfile.encoding=UTF-8 패키지: 연관된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과 서브 패키지의 모음 함수: 중복 코드를 묶어서 사용 자료구조: 자료를 구조화 하는 방법 클래스: 자료구조 + 필드 + 메소드 (함수 + 생성자)* 객체 초기화: 생성자 - 매개변수 없는 디폴트 생성자 / 클래스이름() - 매개변수 있는 편집된 생성자 객체 생성 - 클래스명 객체명 = new 생성자 함수; 객체지향언어 :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들어 사용 편집된 생성자(){ this(); // 디폴트 생성자 호출 ... } 생성자가 없는 경우 컴파일러가 디폴트 생성자를 추가하여 호출 스택: Last In First Out 큐: First..
데이터 타입(자료형, data type) 정수형 숫자를 저장하는 변수 - var myNumber = 10 - myNumber라는 이름의 변수를 생성했으며, 숫자 10을 할당 - var myNumber : Int = 10 (위와 같이 초깃값이 있을 경우에는 컴파일러가 타입 추론(type inference)을 하므로 데이터 타입을 명시할 필요 없음) Bool, Character, Int, Float, Double, String, Void var x : Int x = 10 //주의 error '=' must have consistent whitespace on both sides ('=' 양쪽에 일관된 공백이 있어야 함) 일반적으로 초깃값을 주지 않을 경우에만 자료형을 씀 - var welcomeMessage..
입출력 스트림 객체 cout, cin - iostream 파일을 프로그램에 포함하면 자동으로 열리는 자동 스트림(stream) 객체 - #include - cout // 키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객체, scanf() 여러 변수 값 출력(printf vs cout) - printf("%d, %d, %d\n" ,a,b,c); //C - cout
내일 개천절로 학교를 쉬기떄문에 동영상 강의로 대체된 iOS프로그래밍 공부를 오늘했다. 너무 어려웠지만 그럭저럭 이해는 했다. 먼저 Swift if문에서는 콤마의 의미가 &&의 의미랑 같다. 그 다음에는 guard문 이라는게 있는데 표현식이 거짓일때 동작하는 if문이라고 할수 있다. 그니까 if문의 반대로 조건식이 거짓일 때 블록내부의 명령어가 실행되고 아니면 else 절의 문장으로 빠져나간다. 지금은 이해할수 없지만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자. 그리고 switch case문에 case문 마지막에 break가 자동으로 들어가 있다. 그래서 많약 break문을 쓰지 않고 싶다면 마지막 부분에 fallthrough라는 단어를 쓰면 break문을 무시하고 나머지 case문들도 실행된다. 그리고 where절 ..
요즘 계속 비가와서 그런지 움직이기가 너무 싫다. 그래서 밥먹고 늘어져 있다가 5시 쯤에 컴퓨터를 틀어서 C++ 예습을 들었다. 오늘은 컴터를 늦게 틀어서 예습을 조금밖에 못했다. -------------------------------------------------------------------------------------------------- 함수의 정의와 선언, 호출 함수 정의를 선언 자리에 해도 문제 없지만 좋은 방법은 아니다. 선언 – 호출 –정의 재귀(recursive)함수 = 함수가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 하는 것 실매개변수 = argument = 함수를 호출할 때 사용하는 매개변수 형식매개변수 = parameter = 함수 정의에서 사용하는 매개변수 매개변수를 전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