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네트워크기초실습 8주차 정리 - 2교시 본문

1-2/네트워크 기초 실습

네트워크기초실습 8주차 정리 - 2교시

김브래 2022. 10. 20. 18:24

라우팅

개요

 

- 라우팅(routing): 경로 결정을 하는 과정

- 인터넷을 통해서 데이터를 종착지 (End Node) 간 전달하기 위한 기능

- 최적의 경로 설정을 위해 인접 라우터 간 데이터 공유

- 라우터

; 경로 설정 (또는 제어) 및 데이터 중계를 수행하는 장비

; 트래픽 경로를 제어

: 네트워크 영역을 분리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

 

- 경로 설정이 사전에 고정된 경로 (static routing) 방법이 있고

- 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해서 최적의 경로를 결정 (dynamic routing) 하는 방법

 

정적 라우팅

 

- 사용자가 라우팅 정보를 입력하여 경로를 설정

- 라우터의 직접적인 처리 부하를 감소

- 비교적 환경변화가 적은 환경에 적합

- 대표 방식: Floating Static Routing (Flooding)

 

동적 라우팅

 

- 이웃하는 라우터 간 정보를 공유

-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

- 네트워크의 환경변화에 능동적

- 상황에 따른 능동적 대처 가능

- 대표 기법: Distance Vector Routing, Linked State Routing 등

 

IGP 와 EGP

 

- Internal Gate Routing Protocol

; 동일 그룹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

 

- Ex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다른(외부) 그룹과의 라우팅 정보를 교환

 

Distance Vector [DV]와 Link State

 

- Distance Vector

; 경로를 결정 시 통과하는 라우터의 수가 적은 쪽으로 경로를 선택

; 일반적으로 홉 카운터 또는 TTL을 적용

; 대표적 프로토콜: RIP, IGRP, EIGRP, BGP

 

- Link State

; 네트워크의 상태 (대역폭, 지연 등)에 따라 경로를 선택

; 대표적 프로토콜: OSPF, IS - IS

 

RIP 라우팅

 

-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라우턴 간 거리 계산을 위한 척도로 홉 수를 사용

; 작은 홉 수의 경로를 채택

 

- 최대 홉이 15를 넘지 못 함 (16부터 폐기)

; 라우팅 정보 변경 시 15홉 내 모든 라우터 정보를 갱신

 

- 30초 단위로 주변 라우터로 브로드캐스트

; UDP를 기반으로 전달

 

- 엔트리당 최대 180초 (3분) 라우팅 테이블내 유지

; 상황변화에 따른 실시가 대응에 취약

 

OSPF 라우팅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 탐색 기법: Dijkstra 알고리즘 적용

- 네트워크의 상태 (Link State:대역폭, 지연 등)에 따라 경로를 선택

- 라우터들을 트리 형태의 자료 구조처럼 연결하고 라우터 간 정보를 공유

; 라우팅 정보를 지역 (area)으로 구분하여 전송 ->성능 저하 예방

 

- 최단 경로를 위한 트리의 구조는 라우터마다 다름

- 대규모 네트워킁에서 사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