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here (4)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guard문(조건식이 거짓이면 실행) guard문은 swift 2에 도입된 구문 guard문은 표현식이 거짓(false)으로 판단될 경우에 수행될 else 절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else 절에 속한 코드는 현재의 코드 흐름을 빠져 나갈 수 있는 구문(return, break, continue, throw 구문)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또는 다른 함수를 else 코드 블록 안에서 호출할 수도 있음 guard else { // 표현식이 거짓일 경우에 실행될 코드 } // 표현식이 참일 경우에 실행되는 코드는 이곳에 위치 guard문은 기본적으로 특정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에 현재의 함수나 반복문에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기 출구(early exit)’ 전략을 제공 guard~let의 활용 g..
정렬 쿼리 ORDER BY ORDER BY ORDER BY는 조회한 레코드 목록을 정렬할 때 사용한다. ASC 키워드로 오름차순 정렬, DESC 키워드로 내림차순 정렬이 된다. (생략하면 오름차순 정렬 됨) SELECT column1 FROM table_name ORDER BY column1 ASC | DESC; 정렬 기준을 여러 개의 속성으로 할 때는 ‘ , ’를 이용해 속성 이름을 나열한다. (column1 값이 같으면 column2를 기준으로 정렬)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_name ORDER BY column1 ASC | DESC, column2 ASC | DESC 집계 함수와 GROUP BY COUNT, SUM, AVG, MIN, MAX, HAVING ..
오늘은 mysql workbench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GUI환경에서 실습하는 것을 했다. 잠시 위의 내용을 설명하자면 0과 문자열''은 NULL과 다르다는 것이다. 0은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지만 0이라는 숫자라는 값이 있고 문자열 공백도 마찬가지로 문자열이기 때문에 NULL은 아니라는 것이다. •데이터 조작어 – 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언어. 데이터 베이스의 생성 및 변경, 제거 SELECT UPDATE INSERT DELETE 등 •데이터 정의어 – Data Definition Language (DDL): 데이터 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안의 값들을 변경, 수정, 입력. CREATE DROP ALTE..
guard문(조건식이 거짓이면 실행) guard문은 swift 2에 도입된 구문 guard문은 표현식이 거짓(false)으로 판단될 경우에 수행될 else 절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else 절에 속한 코드는 현재의 코드 흐름을 빠져 나갈 수 있는 구문(return, break, continue, throw 구문)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또는 다른 함수를 else 코드 블록 안에서 호출할 수도 있음 guard else { // 표현식이 거짓일 경우에 실행될 코드 } // 표현식이 참일 경우에 실행되는 코드는 이곳에 위치 guard문은 기본적으로 특정 조건에 맞지 않을 경우에 현재의 함수나 반복문에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조기 출구(early exit)’ 전략을 제공 guard~let의 활용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