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함수 정의 (4)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zhdy/btrVWzfoISI/8aUcKqkZ0YoXfjDWG38WQK/img.png)
함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함수를 호출한 코드에 작업한 결과를 반환할 수도 있음 매개변수(parameter,인자)와 인수(argument)는 차이점이 있음 함수 정의부의 값을 매개변수, 호출시의 값은 아규먼트라고 부름 #include void Fun( int Param ) // parameter(매개변수, 인자), 형식 매개변수(formal parameter) { printf("%d",Param); } int main() { Fun( 10 ); // 10은 argument(인수), 실 매개변수(actual parameter) return 0; } 매개변수 인자 리턴값 메서드(method) 특정 클래스, 구조체, 열거형 내의 함수 함수를 스위프트 클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abEz/btrOvgVlvPh/rgYO7C7j2yH7SaksXsTLp1/img.png)
오늘은 드디어 본격적인 C++언어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클래스에 대해서 배웠다. 일단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 3가지를 알아야한다. 1. 캡슐화 2. 상속성 3. 다형성 이다. 클래스의 접근 권한 중에는 1. private 2. public 3. protected 가 있다. 먼저 private속성은 해당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고 생략이 가능한 속성이다. 그러므로 private속성의 변수는 매인 함수라던지 다른 코드블록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게 바로 첫번째 특징 '캡슐화'이다. 그리고 public속성은 어디에서든지 접근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protected는 private와 같지만 상속클래스가 있는 경우 그곳에서는 접근이 가능하다. 간단히 상속을 설명하자면 부모클래스와 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JviK/btrNxdx2qe5/EoQaLR2G3VfmJj4IXWlUSk/img.png)
내일 개천절로 학교를 쉬기떄문에 동영상 강의로 대체된 iOS프로그래밍 공부를 오늘했다. 너무 어려웠지만 그럭저럭 이해는 했다. 먼저 Swift if문에서는 콤마의 의미가 &&의 의미랑 같다. 그 다음에는 guard문 이라는게 있는데 표현식이 거짓일때 동작하는 if문이라고 할수 있다. 그니까 if문의 반대로 조건식이 거짓일 때 블록내부의 명령어가 실행되고 아니면 else 절의 문장으로 빠져나간다. 지금은 이해할수 없지만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자. 그리고 switch case문에 case문 마지막에 break가 자동으로 들어가 있다. 그래서 많약 break문을 쓰지 않고 싶다면 마지막 부분에 fallthrough라는 단어를 쓰면 break문을 무시하고 나머지 case문들도 실행된다. 그리고 where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8LTA/btrF2N8dYGM/fK6S214l9XSuO2G6Z6oNK0/img.png)
오늘은 상당히 시간이 많아서 C++예습을 꽤 많이 했다. 그런데도 아직 반도 못했다. 그래도 이정도 속도라면 방학 끝나지 전에는 끝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제어문(Control flow) 제어문- 조건문, 반복문, 분기문 조건문: if / if~else / switch~case 반복문: for / while / do~while 분기문: goto / continue / break if(조건식){ 살행문; } if(조건식){ 실행문; } else if{ 실행문; } switch(조건식){ case 상수1: 문장1; case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