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할당 (2)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mzCN/btsd0navajQ/EebKqyPK2sjvCOaiDcMoO1/img.png)
메모리 관리 - 페이징과 세그먼테이션 로딩 및 할당 할당(Allocation) - 연속 메모리 할당 방법(Contiguous Allocation) - 비연속(분산) 메모리 할당 방법(Partition Allocation) 페이징 개념 개념 - 비연속 메모리 할당 기법을 사용 - 프로세스 하나가 여러 개로 나뉘어 메모리에 할당됨 • 페이지(page)의 크기는 모두 동일 프로그램 로딩 - 프로세스에 필요한 페이지를 결정하여 페이지 번호 부여 - 메모리의 빈 프레임을 조사하여 프로세스를 적재할 위치 파악 - 프로세스의 페이지를 빈 프레임에 적재 특징 - 빈 프레임에 어떤 페이지이든 적재 =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 - 프로세스가 분산된 위치에 적재 = 운영체제 관리 부담 큼 - 프레임 간 내부 단편화(Inter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etby/btsd0nO4pni/pbAHelNDXrg2PfBKx2HRBk/img.png)
메모리 관리 주소 바인딩 및 할당 메모리 주소 관리 메모리 공간 - 운영체제내 각 프로세스는 분리된 메모리 공간을 가짐 - PCB(Process Control Block)는 base 주소와 limit값을 포함 - 다른 프로세스 공간의 접근(침입)을 차단 = 보안성 제공 논리적 주소와 물리적 주소 논리적 주소(또는 가상 주소) • 다중 프로세스들의 공간을 쉽게 사용하기 위해 논리적 주소를 사용 • 프로세스들은 논리적 주소를 사용(접근) • CPU가 취급하는 주소 • 운영체제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주소를 접근하기 위해서 MMU(Memory Management Unit)를 제어 - 논리적 주소에 대한 물리적 주소의 변환은 MMU에 의해 처리 물리적 주소 •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실제적인 공간 •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