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클로저 (5)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t7L8/btsCJiwA3lC/QKK6R49mVASrldRWQBnETk/img.png)
first class object : (1)함수를 변수에 저장 가능 Swift는 함수를 데이터 타입처럼 처리할 수 있음 다음과 같이 함수를 상수 또는 변수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 func inchesToFeet (inches: Float) -> Float { return inches * 0.0833333 } let toFeet = inchesToFeet //함수를 자료형처럼 사용 함수를 호출하려면 원래의 함수 이름 대신에 상수 이름을 이용하여 호출 가능 print(inchesToFeet(inches:10)) print(toFeet(10)) //주의 : 매개변수명(inches:) 안씀 first class object : (2) 함수를 매개변수로 사용 func inchesToFeet (inches: Flo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XmjgD/btr6GWydyey/nijpCovvAEl5ek97G1UnO0/img.png)
오늘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1급 객체,1급 시민 / 클로저 / 생성자 등등을 복습했다. 1급 객체(first class object) / 1급 시민(first class citizen) 1급 객체(first class object) 또는 1급 시민(first class citizen) https://en.wikipedia.org/wiki/First-class_citizen First-class citize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oncept in programming language design In programming language design, a first-class citizen (also type, object,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MbE/btrV1h7d8QD/P67qgKPo7PRMLwGPqKGdl0/img.png)
first class object : (1)함수를 변수에 저장 가능 Swift는 함수를 데이터 타입처럼 처리할 수 있음 다음과 같이 함수를 상수 또는 변수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 func inchesToFeet (inches: Float) -> Float { return inches * 0.0833333 } let toFeet = inchesToFeet //함수를 자료형처럼 사용 함수를 호출하려면 원래의 함수 이름 대신에 상수 이름을 이용하여 호출 가능 print(inchesToFeet(inches:10)) print(toFeet(10)) //주의 : 매개변수명(inches:) 안씀 first class object : (2) 함수를 매개변수로 사용 func inchesToFeet (inches: Flo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53ww/btrPsObXPIK/NSXPZvVGYleib8kM0z4e7k/img.png)
iOS 프로그래밍 기초 변수의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 – print(type(of:변수명)) 일반적으로 초기값을 주지 않을 때만 자료형을 쓴다. 정수 데이터 타입 – Int 부동 소수점 데이터 타입 – Double 부울 데이터 타입 – Bool 문자 데이터 타입 – Character 문자열 데이터 타입 –String 변수: var 상수: let 튜플 (Tuple): 여러 값을 하나의 개체에 일시적으로 묶는 방법 let myTuple = (10, 12.1, "Hi") print(type(of:myTuple)) // (Int, Double, String) let myTuple = (count: 10, length: 12.1, message: "Hi") print(type(of:myTuple)) // (cou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MUk3/btrOSltP6G0/kiZADSvKIV5jhEPUjbmpRK/img.png)
다음주 가 시험이라서 오늘은 그동안 배운 내용 전부 복습을 한번하고 진도는 조금만 나갔다. 오늘까지 배운 내용이 중간고사 범위이고 오픈북 시험이라 정리를 잘 해가야 할 것 같다. 일단 저번 수업의 중요 내용은 swift 함수는 1급 객체 이다. swift 함수는 1.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2. 매개변수로 전달할 수 있다. 3. 리턴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주의: 함수를 변수나 상수에 저장하고 호출할 때에는 매개변수명을 안쓴다. 클로저 - 익명 함수 - 클로저 표현식은 독립적인 코드 블록 {(매개변수 이름:매개변수 타입, ... ) -> 반환 타입 in // 클로저 표현식 코드 } 후행 클로저 -클로저가 함수의 마지막 아규먼트라면 마지막 매개변수명을 생략한 후 함수 (소괄호 외부에)클로저를 작성 클로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