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구조 (2)
브래의 슬기로운 코딩 생활

다중화 기술 다중화 다중화 = Multiplexing, 다중화기=MUX(MUltipleXer)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이용하여 통신 전송로 하나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같이 보냄 = 고속전송이 가능 전송로의 이용 효율이 매우 높음 경제적임 - 통신선로 비용 및 공사비 절감 - 유지보수가 용이 종류 -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코드 분할 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입출력시스템 - 디스크 및 RAID 하드 디스크 구조 기본 구조 - 암이 이동하여 트랙의 선별이 가능 - 원판이 회전하여 섹터의 접근이 가능 기능 원판(플래터) • 표면에 자성을 입혀 0과 1의 데이터를 저장 - N극 : 0 / S극 : 1 • 보통 2장 이상으로 구성 • 일정한 속도로 회전 섹터 • 하드디스크의 가장 작은 저장 단위 • 하나의 섹터에는 한 덩어리의 데이터가 저장 • 블록 - 하드디스크와 운영체제 사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위 - 한 블록은 하드디스크내 여러 개의 섹터로 구성됨 • 섹터 vs 블록 - 하드디스크의 저장 단위 - 운영체제의 저장 단위 트랙 •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 동일한 반경에 있는 섹터들의 집합 헤드 •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 ..